2017/09/12 - 깔루아 밀크 - 만들기 쉬운 칵테일. 이어서 이번에는 "깔루아 + 보드카 + 얼음 " 을 섞으면 되는 블랙러시안 이건 좀 쌔다. 웹에서 레시피를 검색을 해보면 썪으면 알콜 도수가 30도가 넘는 다고 되어있다. 맛도 딱 그런 알콜의 맛이 난다. 사진에 보이는 잔은 콜라잔이라 칵테일 잔보다는 많이 들어간다. 사진의 보드카는 정말 러시아의 보드카 이름도 그래서 러시안보드카이다. 러시아 출장 때 저 보드카를 주로 마시다 와서인지 그냥 보드카하면 저게 생각난다. 보드카가 무슨 맛이있어? 라고 하는데 러시아에서 여러 상표를 마셔봤을 때 아~~주 쬐~~끔의 차이는 있기는 있었다. 그냥 소주같은 맛나는 것도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러시아에서 살던 형은 식당에서 보드카를 혼자만 처음엔 주..
"깔루아밀크" 라는 칵테일. 진하고 달콤한 커피 우유인데 그렇다고 많이 먹으면 취하는 그런 칵테일. 그래서 남성보다는 여성들이 더 좋아한다고 하는데 남녀를 떠나서 그런 맛을 좋아하면 좋아하는 칵테일. 몇 년전에 이 칵테일을 해 먹어보겠다고 커피술을 담아본적이 있었다. 집에 있는 원두를 소주에 담아서 설탕도 넣고 등등 웹으로 보니 에스프레소를 넣어줘야 맛이 좋아진다는데 에스프레소를 내려먹을 장비가 없는 관계로 그냥 했다가 몇개월 후에 실망만 했던 기억이 있다. 해외 출장에서 귀국 길에 면세점을 구경하다가 눈에 딱 보이기에 구입해왔다. 면세점이라 마트보다 저렴(?)하고 딱 저 술은 술이라는 보다는 썪는 재료 중에 하나여서인지 상자포장도 없이 비닐에만 넣어 줬었던 기억이. 치앙마이공항에서 780바트, 1L. ..
나는 역시 삼겹살 보다는 목살이 좋다. 마트를 갔다가 약간 할인판매하는 수입 냉장 목살 한 팩을 구입해왔다. 원산지는 멕시코 돼지는 전세계가 유전자가 같다고 한다. 한돈이나 외국산 돼지나 뭐 맛있게 먹으면 된다는 말로 나는 이해한다. 한돈은 왜이리 비싼지 뭐 사료값 등등이 비싸니까 그렇겠지 우리나라에서 외국산 사료를 먹고 자란 한돈이나 외국 땅에서 사료먹고 커서 온 돼지나 다르려나? 마트에서 목살을 구입해와서 소금,후추로 밑간을 하고 올리브유를 살짝 바른뒤 후라이팬에서 잘 굽고 후라이팬에 남아있는 기름에다가 버섯이랑 양파를 넣고 볶다가 소금,후추로 간을 해주고 끝~!! 더 두껍게 잘라진 목살을 먹고픈데 마트에서는 아침 일찍가야지 잘라준다고 한다. 백종원의 프로그램 보니까 목살 아랫부위 목전지가 있다고 하..
2017/09/07 - 사진 GPS정보로 촬영 위치 지도에서 보기 - FastStone Image Viewer 처럼 클릭으로 지도에 위치를 표시해주는 프로그램 꿀뷰. FastStone Image Viewer 보다 더 단순한 사진보는 프로그램이다. https://www.bandisoft.co.kr/honeyview/ 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설치 실행을 하면된다. 프리웨어라 사용상에 아무런 제약은 없다. 유명한 화면을 동영상으로 캠춰하는 프로그램인 반디캠이랑은 상관없는 회사인 듯 하다. 반디캠이 다른 회사에서 이름을 사용하고 있어서 허니캠-꿀캠으로 이름을 지은 것은 아닐까? 기본 모양은 이렇게 생겼고 아래 플레이어 같은 곳에서 CD플레이어 열기버튼 같은 걸 누르면 사진을 선택할 수 있고 오른쪽에 ..
사진 GPS정보로 촬영 위치 지도에서 보기 - 꿀뷰사진 GPS정보로 촬영 위치 지도에서 보기 - FastStone Image Viewer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돌아다니면서 가끔 사진을 찍는데 나중에 보니 어디였는지 기억은 안나고 스마트폰 사진을 찍을 때 GPS정보를 넣게 설정을 해봐서 GPS정보가 있는데 속성에서 하나하나 복사해서 구글맵에서 찾아보니 한 두개는 하겠는데 역시 귀찮다. 간단하게 마우스 클릭만으로 위치를 찍어보고 싶어서 검색해보니 비슷한 기능을 해주는 싸이트도 있고 이러이러한 것들을 찾다가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을 찾았다. 일단 개인이 사용하면 프리웨어고 버전업이 되면서 한글화도 되어있어서 사용하기 좋다. 물론 영어메뉴에 익숙하면 영어로 설정해서 사용하면 되겠다. 프로그램 이름은 FastSto..
요즘 블로그에 이것저것 다시 하다보니 발행을 할 때 주제를 정하면 보이는 글 맨 아래 쪽의 공감버튼. 티스토리에서 주제별로 잘 분류가 되어서 티스토리에서 찾아온다면 도움이 되는 주제 선택. 그리고 이런 저런 루트를 통해서 글을 읽으면 누룰 수 있는 공감버튼 눌려지면 숫자도 올라가고 페이스북의 좋아요 같은 기능이지만 뭐 있으나 마나 한 공감버튼. 숫자가 늘어나지도 않고 등등 글 아래 쪽에 많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듯하여 없애고 싶으면 발행시 주제를 선택해서 연결 안하면 되지만 그것은 또 하고 싶어지고 그래서 안보이게 했다. 소스를 보고 찾아보니 HTML/CSS편집 에서 CSS 에서 몇 단어 추가하고 저장~! .daum_like_wrapper {display:none} 따란~! 공감 버튼이 사라졌다. 나중..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